[Cilium Study 1기 by Gasida] Cilium 환경 구축 및 실습
실습환경 배포파일 Vagrantfile : 가상머신 정의, 부팅 시 초기 프로비저닝 설정 init_cfg.sh : args 참고하여 설치 kus-ctr.sh : kubeadm init (Pod/ServiceCIDR), 편리성 설정(k, kc) k8s-w.sh : kubeadm join ...
[Cilium Study 1기 by Gasida] Cilium - 기본용어정리
Cilium을 위한 용어 정리 스터디 1주차 시작 리눅스 / 네트워크 지식이 많이 부족하다고 느껴졌다. 기본적인 부분을 학습해본다. eBPF(extended Berkeley Packet Filter) 역사적으로 운영 체제는 전체 시스템을 감독하고 제어할 수 있는 특권적인 능력을 갖추고 있어 관측 가능성(observability), 보안, 네트워킹...
유용한 링크
블로그 https://dev.classmethod.jp/articles/cloudfront-and-s3-using-hugo-with-github-actions/
[Cilium Study 1기 by Gasida] Cilium - 개요
Cilium 간단 요약 TL;DR Cilium Agent runs on each node(DaemonSet) 실리움 에이전트는 각 노드에서 데몬셋을 사용하여 실행된다. Cilium agent listens to k8s events and API calls to understand the cluster’s netwo...
[Cilium Study 1기 by Gasida] - Cilium Migration
기존 쿠버네티스 네트워킹의 문제점 Cilium은 모든 CNI 관련 작업을 처리 하고 ingress controller,Gateway API 및 기타 모든 기능을 구현한다. 하지만 일반적인 서비스 라우팅과 로드 밸런싱은 kube-proxy에게 위임한다. 하지만 이 역시도 Cilium을 사용하여 kube-proxy를 대체하도록 구성할 수도있다. 그렇다...